지네이블의 건강정보

한국을 대표하는 한식, 장점과 단점 총정리

Jinable 2023. 3. 7. 14:19
반응형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즐겨 먹는 음식인 한식.

한식은 대체로 밥과 반찬 국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양한 종류의 반찬과 밥을 먹기 때문에 

몸에 필요한 다양한 영양소를 쉽게 섭취할 수 있다. 

우리가 매일 먹는 한식, 과연 건강에 좋을까?

한식의 장단점

한식의-장단점
한식의 장단점


한식의 장점

 

1. 다양한 영양소 섭취

우리는 밥과 함께 반찬을 곁들여 먹기에 다양한 영양소를 쉽게 섭취할 수 있다. 이는 영양소의 균형을 맞추고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쉽게 예를 들자면 밥, 미역국, 시금치나물, 김치, 계란말이로 이루어진

식단을 보았을 때 포만감을 주고 탄수화물이 풍부하게 함유된 밥, 섬유질과 칼슘이 풍부한 미역, 철분과 비타민 C가 풍부한 시금치, 유산균이 풍부하여 장 건강에 좋은 김치, 고품질의 단백질을 제공하는 계란으로 한 끼 식사에 많은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다.

 

2. 다양한 식감

한식은 다양한 조리방법을 이용한다. 삶기, 조리기, 볶기, 굽기, 튀기기 등 다양한 조리방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식감을 구현할 수 있다. 조리방법에 따라 식감이 변하기에 느끼는 맛과 만족감도 다양하며 같은 재료일지라도 조리방법이 다르면 변화된 요리를 쉽게 맛볼 수 있다.

 

3. 지속 가능한 식습관

한식은 대부분 식물성 식재료로 만들어진다. 쌀, 나물, 해조류 등 다양한 식물성 재료들은 지속가능한 농업과 자연보호에 큰 도움을 준다.

 

4. 발효식품 섭취

한식을 섭취하면 발효식품을 많이 섭취할 수 있다. 대표적인 한식의 발효식품으로는 김치가 있다. 김치는 한식에서 빼놓을 수 없는 반찬이며 배추, 무, 갓, 열무 등 다양한 재료들로 쉽게 만들 수 있다. 김치뿐만 아니라 젓갈, 양념장 등 다양한 발효식품이 있다. 발효식품에는 유산균이 풍부하여 장 건강에 좋으며 면역력향상에 도움이 된다.

 

 


한식의 단점

 

1. 과도한 나트륨 섭취

한식에는 나트륨이 높을 수 있다. 김치나 장아찌 된장 등 한식에 사용되는 발효식품은 나트륨 함량이 높다. 또한 한식에는 찌개나 국류 등 자극적이고 매운 음식들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섭취할 때 주의하여야 한다. 지나친 나트륨 섭취는 고혈압과 같은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2. 고칼로리

한식은 대체로 밥과 국 그리고 반찬을 함께 먹는다. 이를 모두 섭취할 때 많은 칼로리가 섭취될 수 있다. 특히 한국사람들이 즐겨 먹는 뜨거운 국물에는 나트륨뿐만 아니라 칼로리도 많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한다. 쌀밥 대신에 현미밥, 귀리밥, 콩밥 등 다양한 잡곡을 이용해 밥을 짓는 것은 좋은 방법이다.

 

3. 육류 섭취량 증가

흔히 볼 수 있는 고깃집이 점점 더 늘어나는 추세다. 과도한 육류 섭취는 동맥경화, 대장암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한식을 건강하게 즐기는 법

 

몸에 좋은 것일지라도 과도하게 섭취하면 해가 될 수 있다. 한식은 특히 나트륨함량이 높은 음식들이 많기 때문에 하루 세끼 한식을 섭취하면 (일반식당에서 외식을 하였을 때) 하루나트륨 권장 섭취량을 초과할 수 있다. 우리의 혀는 적응을 하기 때문에 간이 강한 음식을 자주 섭취하면 적당한 간의 음식을 먹어도 싱겁고 맛이 없게 느껴진다. 반대로 간이 약한 음식을 평소에 섭취하면 나트륨 섭취량을 줄일 수 있다. 집에서 음식을 하면 간을 좀 줄이도록 하자. 또한 밥을 지을 때는 콩, 수수, 현미 등 다양한 잡곡들로 밥을 짓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쌀은 탄수화물이 함량이 높지만 단백질함량은 낮은 편이다. 부족한 영양소를 잡곡들로 채워 먹는 것이 좋다. 찌개나 탕류 등 국물음식을 섭취할 때는 국물은 자제하고 거기에 들어있는 채소나 육류위주로 섭취하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