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네이블의 건강정보

일상생활중 잦은 두통, 왜 발생하는 것일까? 두통 원인 및 예방법

by Jinable 2023. 3. 14.
반응형

많은 현대인들이 흔하게 겪고 있는 두통, 고대 문서에서도 언급이 될 정도로 인류를 오랫동안 괴롭혀 오는 증상이다.

최근에는 문명이 급격하게 발달하고 다양한 환경과 스트레스에 노출되면서 현대인에게 두통은 더 많이 발생한다.

과도한 업무 또는 스트레스나 과로로 인해 생기는 두통을 가볍게 생각하기 쉽지만 두통이 심해지면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초래하거나 치명적인 질병을 모른 채 살아갈 수도 있다.

두통의-원인과-예방법
두통의 원인과 예방법

 


두통의 종류와 원인

두통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다.

 

첫 번째로 긴장성두통은 대부분의 현대인들이 쉽게 겪는 두통이다. 다양한 연령층에서 발생하며 스트레스, 피로, 수면 부족 등의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가벼운 두통이다. 긴장성두통의 원인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증상으로는 머리가 조이는 느낌, 머리나 어깨를 짓누르는 느낌 등으로 나타며 대부분 뇌 양측에 모두 나타난다. 진통제에 의해 잘 완화되는 편이지만 통증이 심할 때에는 박동성을 가지는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통증의 강도는 대부분 가볍기 때문에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다만 두통의 빈도가 잦은 경우 다소 강한 두통이 발생할 수 있다.

 

두 번째로 편두통은 일반적인 두통보다 통증이 심해 머리가 쑤시듯이 아픈 두통이다. 남성보다는 여성이 3배 많이 나타나고, 90%가 40세 이전에 발생하는 것으로 보이고 있다. 편두통의 특징으로는 추가적인 증상이 동반하는 것이다. 어지러움, 관자놀이 통증, 식욕부진, 눈의 통증, 구역질, 오한, 목의 뻐근함 등 다양한 증상이 동반된다. 현재까지도 편두통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생활습관, 질환 유무 등에 따라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다. 예상되는 원인으로는 만병의 근원이라 불리는 스트레스, 수면장애, 여성의 경우 생리 중 일 때 발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군발성두통은 분명한 특징이 나타난다. 대개 2시간 이내에 증상이 사라지며 여자보다 남자에게 더 많이 발병한다. 주로 청년기와 장년기에 자주 나타나며 20대 후반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두통이다. 군발성 두통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으며 예상 원인으로는 알코올과 스트레스, 불규칙적인 생활습관, 체내 호르몬 수준 변화 등이 있다. 증상으로는 한쪽 눈의 통증, 코막힘, 콧물, 눈의 충혈 등이 있다. 특히 두통 발생 시 머리를 움직이거나 숙일 때 어지러움을 크게 느낀다. 하지만 군발성두통은 대부분의 경우 휴식이나 진통제 등으로 완화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두통의 종류가 있으며 그 두통에 따라 치료법은 다르지만 원인으로는 대개 스트레스와 수면장애로 인한 발생이다. 

 


두통 예방법 및 해결법

두통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방법을 추천한다.

  •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는 만병의 원인이며 두통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업무 중에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이 나타난다면 그 환경을 벗어나고 잠깐 바람을 쐬거나 명상을 하며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을 추천한다.
  • 수면 관리: 수면 부족, 과수면은 두통의 원인이 된다. 규칙적인 수면 패턴을 유지하고 자신에게 맞는 충분한 수면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 식습관 관리: 식습관 또한 두통에 영향을 미친다. 정기적인 식사와 영양있는 식사를 하도록 한다. 카페인, 초콜릿, 담배, 알코올 등 일부 음식들은 두통을 유발할 수 있으니 이러한 것들일 피하거나 줄이는 것이 좋다.
  • 적절한 운동: 유산소 운동은 두통 예방에 효과적이다. 하루 30분 정도의 운동은 좋은 습관이다.
  • 충분한 휴식: 피로가 쌓였을 때 두통이 발생하기 쉽다. 피로를 풀어주기 위해 충분한 휴식을 가지는 것은 좋은 방법이다.

두통이 발생했을 때는 휴식을 취하고 조용한 곳에서 누워서 쉬거나 명상, 호흡 운동 등의 방법으로 심신을 안정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두통 완화를 위해 진통제를 복용하거나 어깨나 목 부분에 마사지를 하여 근육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이다. 하지만 현대사회를 살아가면서 스트레스 요인은 정말 많다. 이런 스트레스 요인들은 쉽게 제거할 수 없다. 요즘 '중꺾마' 라는 신조어가 생기듯 중요한 것은 우리의 마음가짐이다. 욕심을 버리고 마음을 내려놓고 천천히 느리게 생각하며 살아가는 것을 추천한다. 물론 돈이 많으면 좋고, 자기가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이루면 좋지만 욕심이 과해지면 스트레스 또한 많이 받게 된다. 적어도 하루에 3분 이상 자기 자신을 위하여 명상 시간을 가져보라. 온갖 잡생각을 버리고 오로지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것을 추천한다.

반응형

댓글